엔씨소프트 김택진 대표가 손해를 보면서까지 자신의 회사 지분을 넥슨에 넘긴 것과 관련 여전히 의문부호가 달리고 있다.
넥슨과 엔씨는 지분 양도의 이유로 "글로벌 기업들과 경쟁하기 위해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며 협력한 것"이라고 밝혔다. 거의 모든 언론사에서도 해당 이유를 들어 양사의 지분양도를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이번 지분매각은 어려 모로 납득이 되지 않는다. 양사의 전략적 제휴는 굳이 지분매각을 거치지 않고도 충분히 가능하기 때문이다. 제3자 배정 증자를 통해서도 가능하다. 게다가 매각 금액이 25만원으로 전일 종가였던 26만 7000원보다도 훨씬 못미치는 액수다.
이 때문에 양사에서 밝힌 "진정한 글로벌 넘버원의 게임으로 성장시키기 위한 선택"을 곧이곧대로 믿을 수는 없다는 분위기도 형성되고 있다.
현재 업계에서 예상하고 있는 가장 큰 그림은 김택진 대표가 정계에 진출한다는 설이다. 김택진 대표는 '존경받는 IT 기업가' 조사에서 1위에 꼽히는 등 대중에 가장 많이 알려진 게임기업 CEO다. 김 대표는 줄곧 안철수 교수와 비교되던 인물로 이번에 확보한 현금 등으로 대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과거 업계 일각에서는 루머로 밝혀지긴 했지만 김택진 대표가 정계에 진출해 게임업계를 대변해주기를 바라는 목소리도 종종 있었다.
엔씨 내부에서도 갑작스러운 변화에 민감하게 대응하며 촉각을 기울이고 있는 상황이다. 엔씨소프트의 한 관계자는 "우리에게도 너무나 갑작스러운 소식이라 당황스럽다"며 "여러가지 가능성이 남아있는 것은 아니냐"라고 말했다.
분명한 것은 김택진 대표의 지분매도와 관련 '먹튀논란'은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때 30만원을 훌쩍 뛰어넘는 주가를 기록할 때에도 김 대표가 지분을 보유하고 있었고, 이번 매각 금액 역시 현재 주가에 못 미친다는 점에서 먹튀 CEO로 불릴 가능성은 낮다는 설명이다.
업계 소식에 정통한 한 관계자는 "과거 몇몇 게임기업 CEO들이 지분을 팔고 업계를 떠났던 방식과 김택진 대표의 지분 매각은 다른 시각에서 바라봐야할 것"이라며 "김택진 대표가 확보한 8045억이라는 어마어마한 금액이 앞으로 어떻게 쓰일지 지켜봐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오상직 기자 sjoh@chosun.com] [gamechosun.co.kr]
▶ [디아블로3] 실체 드러낸 디아3, 이제 핵심정보 챙겨야
▶ [디아블로3] 서비스 혹평, 패키지 구입자는 유료베타테스터?
▶ [E3 2012] 열혈 게임마니아, ″천사의 도시″ LA로 집결!
▶ [E3 2012] 액션, 비디오게임 효자장르 명맥 잇나
▶ [E3 2012] 감동도 놀람도 없었다
▶ 블리자드 망한 스타2로 디아3 예측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