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엔씨소프트의 신작 모바일 MMORPG(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 '리니지M'이 19일(수) 업데이트를 통해 기란 마을의 데이젤 NPC를 삭제함으로써, 거래소의 시세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데이젤 NPC는 무기 및 방어구를 강화시킬 수 있는 '갑옷 마법 주문서(각인)'와 '무기 마법 주문서(각인)'을 판매해 유저들은 필요에 따라 자신의 장비를 한층 업그레이드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19일(수) 업데이트를 통해 해당 NPC를 삭제함으로써, 강화 주문서의 획득 경로가 줄어들었고 이제는 몬스터 사냥 및 상점 탭의 '장비 강화 주문서 상자(각인)'을 구매해 얻을 수 있다.
특히 상점 탭을 통해 강화 주문서를 구매하는 경우, 이전 데이젤 NPC가 판매하는 상품보다 비싸고 무기 마법 주문서가 나올지, 갑옷 마법 주문서가 나올지 알 수 없다. 물론 '축복받은 장비 주문서'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7월 셋째 주, 데이젤 NPC의 삭제로 인해 강화되지 않은 장비의 시세가 대체적으로 하락했으며 반면에 안전 강화 이상의 장비는 가격이 상승했다.
- 본 시세 및 거래량 지표는 평균값이며 소수점은 반올림 됨(재료 아이템 제외).
- 각 서버에 따라 시세 및 거래량, 등락률은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거래량이 극히 적거나, 중요도가 낮은 아이템은 제외됨.
- 본 지표는 7월 8일~14일 시세 및 거래량, 등락률임.
- 기타 카테고리의 4대 재료(철/천/보석/가죽)의 등락율은 최저가 대비임.
- 각 서버에 따라 시세 및 거래량, 등락률은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거래량이 극히 적거나, 중요도가 낮은 아이템은 제외됨.
- 본 지표는 7월 8일~14일 시세 및 거래량, 등락률임.
- 기타 카테고리의 4대 재료(철/천/보석/가죽)의 등락율은 최저가 대비임.
■ 무기 - 핫해! 핫해! '메일 브레이커'

무기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메일 브레이커'의 가격 상승 및 거래량 증가다. 메일 브레이커는 언데드 종류 몬스터에게 추가 데미지를 주는데, 용의 던전 1층 및 2층의 몬스터가 언데드이기 때문에 큰 인기를 끌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용의 던전은 고스펙의 유저가 찾는 차기 사냥터다.
■ 방어구 - 다이아 노가다의 블루 오션템 '마법 방어 투구'

최근까지 다이아를 확보하기 위해 마법 망토와 다마스커스 검 등이 매우 유행했으나, 해당 아이템의 공급이 많아짐에 따라 시세는 하락하고 잘 팔리지 않는 현상까지 발생했다. 그리고, 이제는 이 아이템을 대체할 새로운 판매품이 등장했다. '마법 방어 투구'의 판매량이 현재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 장신구 - 대세는 마방 세팅?

멸마의 반지 판매량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는 마법 방어 투구와 마법 망토의 판매량 증가와 그 맥을 같이하는 것으로 보인다. 멸마의 반지는 리자드맨 마법사와 숲 오크 마법사 등의 몬스터를 처치해 획득 가능하다.
■ 스킬북 - 속속 등장하는 끝판왕 스킬!

지난 주, 아이스 스파이크와 파이어 스톰이 첫 모습을 드러낸 후 점차 고서클의 마법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3주차에도 파이어 스톰의 거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점차 판매량이 증가하고 있다. 또, 스톰 샷의 가격이 점차 하락하고 있다.
■ 주문서 - 그것이 알고 싶다! 강화 주문서 가격은 왜 하락했는가?

데이젤 NPC가 사라진 후, 많은 유저가 강화 주문서의 가격이 폭등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실제로 데이젤 NPC가 사라진 후 몇 시간 동안 강화 주문서의 가격은 약 3배 이상 올랐다. 하지만 이후 급격하게 가격이 떨어지기 시작했으며 현재는 지난 주 시세보다도 약간 더 하락한 모습이다.
이는 데이젤 NPC가 사라짐에 따라 소비심리가 축소되고 자신이 직접 강화를 시도할 경우, 일정 확률로 성공하기 때문에 위험 부담이 존재한다. 하지만 이미 강화된 장비를 구입할 경우, 이러한 위험 부담으로부터 자유롭기 때문에 강화된 장비의 판매량은 증가하고 강화되지 않은 장비 및 강화 주문서의 가격은 하락한 것으로 보인다.
■ 기타 - 한없이 나락으로! 수요를 넘어버린 재료 공급

거래소에 재료를 팔아 다이아를 수급하는 시기는 이제 끝난 듯 하다. 모든 재료의 가격이 폭락했다. 수요보다 공급이 훨씬 많아 가격이 계속 하락하는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현상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희귀 제작 비법서의 경우는 꾸준히 가격이 증가하고 있는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