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코어 유저층 카톡보다 일반 마켓 포진도 긍정시각 요인
모바일게임 흥행의 제일조건으로 카카오게임하기 입성이 꼽히고 있다. 하지만 모두가 그런 것은 아니다. 카카오 없이도 흥행에 도전하는 기대작이 등장한 것. 주인공은 CJ E&M 넷마블이 서비스 예정인 모바일 RPG '스톤에이지모바일'.
전 세계 2억명이 즐긴 바 있는 온라인RPG ‘스톤에이지’에 기초해 제작된 스톤에이지모바일은 카카오 게임하기를 통해서 론칭되지 않는다. 애플 앱스토어과 구글플레이 등 일반 오픈마켓만을 론칭 창구로 한다.
모바일게임 실크로드로 여겨지는 카카오게임하기를 과감히 버린 셈이다. 모바일RPG의 흥행 신화를 쓴 헬로히어로, 몬스터길들이기, 내친구용팔이 등이 모두 카카오게임하기를 통해 론칭됐음을 고려할 때 매우 이례적인 일이다. 더불어 이목이 집중되는 이유기도 하다.
非카카오 게임으로 흥행이 가늠하는 기회이기 때문이다.
업계에서의 의견은 엇갈리고 있지만 흥행 가능성에도 적지 않은 무게가 실리고 있다.
우선 헬로히어로, 몬스터길들이기, 내친구용팔이 등은 카카오게임하기를 통해 론칭돼 큰 인기를 모았다며 스톤에이지M이 일반오픈마켓만으로 기존 흥행작을 따라 잡을지 의문이라고 의견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긍정론도 만만치 않다.
카카오게임하기의 론칭됐던 작품 상당수가 캐주얼과 비행, 질주 등 가벼웠던 RPG 유저 기반이 취약할 수 있어 카카오를 통하지 않더라도 흥행이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스톤에이지모바일이 온라인게임 시절 상당수 하드코어 유저층을 확보하고 이들의 향수를 자극해 일반 오픈마켓에서도 적지 않은 반향을 몰고 올 것이라는 것.
또한 확산성밀리언아서와 퍼즐앤드래곤 등이 카카오 없이도 시장을 점령한 바 있고 여전한 인기와 매출을 내보이고 있다는 것도 긍정적 시각의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업계 한 전문가는 "카카오 게임하기 플랫폼 내에서도 경쟁이 치열해진 만큼 초반에 비해 카톡 입점이 갖는 로열티도 많이 약해졌다" 며 "또한 카톡 게이머가 대부분 캐주얼 유저라는 점을 감안했을 때 RPG장르의 비카톡 론칭이 크게 불리하다고만 볼 수 없다" 라고 말했다.
넷마블 측은 "'스톤에이지 모바일'은 기존 온라인게임의 방대한 콘텐츠를 모바일로 최적화 시킨 실시간 대전 RPG로서 지난 8일부터 진행하고 있는 사전등록이벤트에 많은 이용자들의 참여를 이끌어내며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며 "비 카카오로 출시될 예정이지만 이미 검증된 게임성과 안정된 운영능력을 앞세워 충분히 좋은 성과를 거둘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상두 기자 notyet@chosun.com] [gamechosun.co.kr]
▶ 도타2 한국 서버 오픈! 도타2 정보 총망라!!
▶ 日소프트뱅크, 거침 없는 먹성…핀란드 ″슈퍼셀″ 인수
▶ 게임문화재단 기부금은 쌈지돈?…납부기업 사회공헌에 ″펑펑″
▶ 넷마블, 아직도 목말라?…몬길-용팔이 이어 ″스톤에이지M″ 출격 준비
▶ TCG의 대변신 ″수집은 기본 전략은 덤″…제2의 확밀아, 언제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