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산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 제고를 목적으로 설립된 게임문화재단이 게임사 이익집단인 한국게임산업협회의 한 개 부서로 전락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5일 새누리당 강은희 의원은 게임문화재단으로부터 제출받은 '게임문화재단 기부금 출연 및 사업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각 게임사들이 재단에 기부금을 내면서 자사의 사회공헌사업에 사용하도록 지정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또 기부금 중 일부는 주요 게임사들로 구성된 한국게임산업협회(현 한국인터넷디지털엔터테인먼트협회)에 위탁사업비 명목으로 주도록 약정을 체결한 것으로 드러났다.
강은희 의원은 "국내 메이저 게임사들은 게임문화재단에 납부한 기부금을 자사의 사회공헌사업과 협회 지원금으로 사용하게 함으로써 '재단기부 실적'과 '사회공헌 실적'을 동시에 챙기기 위한 방편으로 활용했다"며 "게임업계의 건전 게임문화 조성 사업은 눈 가리고 아웅식"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특히 기부금 납부 업체들은 게임문화재단 이사회와 별개로 '기부금 관리위원회'를 구성, 재단의 사업계획, 사업방향을 결정하는 권한을 행사해왔다"며 "이는 결국 게임문화재단이 독립적, 중립적으로 운영되지 못하고 게임산업협회의 한 개 부서로 전락한 꼴"이라고 강도높게 비난했다.
강 의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08년부터 2012년 말까지 게임문화재단 총사업비 79억원 중 기부금을 낸 기업의 사화공헌 사업에 약 40%인 31억5000만원이 사용됐다.
또 지난해 말 기준으로 106억7000만원의 기부금을 모금, 그동안 80억7000만원을 집행한 후 잔액이 26억여원밖에 남지 않아 올해 재단사업이 파행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강 의원은 "이러한 추세라면 올 연말에는 잔액이 2억원 정도밖에 남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기부금이 추가로 모금되지 않으면 사실상 재단은 문을 닫아야 하는 형편"이라고 말했다.
한편, 게임문화재단은 2006년 '바다이야기 사태' 이후 게임문화에 대한 인식 개선과 건전한 게임문화 조성을 위해 2008년 한국게임산업진흥원 주도하에 주요 게임사들의 기부금 출연으로 설립됐다.
[류세나 기자 cream53@chosun.com] [gamechosun.co.kr]
▶ 도타2 한국 서버 오픈! 도타2 정보 총망라!!
▶ [주간] 게임업계 ´희망고문?´… 나랏님 말씀에 울고 또 울고
▶ 대구시민, 도심 한복판서 RPG ″한판″…“북성로를 지켜줘”
▶ 액토즈 부사장, 게임업계 입문 후회막심...왜?
▶ 넷마블 RPG, 아우의 난…내친구용팔이, 몬스터길들이기 ″추격″